Back

SEOUL – 서울문화원형표현전

0

[상원미술관의 문화원형 시리즈]

상원미술관에서는 다양한 문화원형 관련 전시회와 워크샵을 개최하고 있다. 전설과 설화에 담긴 스토리텔링의 새로운 모색을 시작으로 시간에 얽힌 이야기, 자연 정체성과 자연공존, 자연조화와 자연순환에 얽힌 이야기, 적, 녹, 청에 얽힌 이야기, 서울문화원형표현…등의 다양한 스토리텔링 작품집을 출간하고 있다.

 

● 책소개

“아름다운 600년 수도, 서울의 역사와 전통을 알아보자!”

 

서울은 지난 600년 이상 우리의 수도로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지역으로 대내외적으로 인식되어 왔던 관계로, 서울만의 문화적 정체성 표출과 표현이 상대적으로 미약했었다. 따라서 이 책은 [행복한 서울 만들기 프로젝트]로 시작되었다. 서울을 유형문화원형과 무형문화원형을 테마로 설정하여, 도자, 섬유, 금속, 설치, 일러스트레이션 등 다양한 표현양식을 통해서 표현된 22명의 중견 및 신진 작가의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작품들로 구성된 스토리텔링 방식 작품집이다.

 

<출판사 서평>

“서울의 정체성(아이덴티티;identities)를 알아보자!”

 

한 번 쯤 ‘서울’을 한자(漢字)로 바꾸어 표기하려는 작업을 문득 시도해 본 적이 있는가? 사실 ‘서울’은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모든 이들의 기본적인 생활 터전이 되어 국토방위의 선봉집결지 및 경제와 문화의 최대 중심지라는 의미로 일컫는 순수한 우리말로 붙여진 지명(地名)이다. 대한민국의 중심부이자 두뇌 역할을 하고 있는 서울에 대해 다시 한 번 진지하게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서 예술가들이 서울을 통해 무엇을 재조명하고 통찰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서울에 어떠한 진실한 의미를 작품에 부여할 것인지! 그 해답을 찾고자 하는 노력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이 책은 작품집으로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화려한 매머드급으로 성장한 선진도시 서울은 대한민국의 벽을 넘어서 글로벌 시대의 국제적 시각에서도 한국을 대표하는 상징적 특성을 더욱 확고히 보여줄 수 있어야 하며, 뉴욕, 런던, 파리, 시드니 등과 같은 독자적 아이덴티티가 분명한 도시들이 존재하듯이 자신만의 정체성이 뚜렷하게 부각되기 위한 서울만의 ‘도시성(都市性)’ 구축이 우리 최대의 과제라 볼 수 있다.

 

“서울을 연구하는 작가 22명의 서울이야기”

 

이 책은 서울에 얽힌 이야기를 가지고 새롭고 참신한 작품소재의 발굴을 통한 서울의 문화원형 발굴 및 연구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재인식하여, 서울을 중심으로 우리나라가 21세기의 세계 문화 강국으로 가는데 디딤돌을 놓고 싶은 간절한 마음이 이 책을 기획한 주요 동기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22명의 서울을 연구하는 작가들이 만든 작품집이다. 상원미술관에서 전시회로 개최된 “서울문화원형표현전”에서 작가들은 다양한 창작을 시도하였다. 여기에 소개된 몇몇 작가들의 서울 이야기를 작가관점에서 들어보자.

서울에는 조선시대 궁궐이 다섯이 남아 있다. 수난과 고통을 감내했던 조선의 5대 궁궐인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 경운궁은 조선 왕조사의 명암을 간직하고 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본 작품은 종이 한지에 궁궐의 본 모습을 재연한 것이다. [이지은,“궁+궐 제 모습 되찾자!”에서]
조선의 역사와 수도 한양의 역사는 순탄치 않았다. 하지만 시련을 딛고 일어선 대한민국은 일찍이 타고르가 말했듯 다시 깨어나 등불이 하나 둘 켜지며 동방의 등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엄기준,”Light Up Seoul!”에서]

“서울 문화홍보 도우미”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유서 깊은 600년 수도 서울의 역사와 전통 속에서 다양한 문화 형성의 원류로서 힘을 발휘해 왔던 서울의 문화원형에 대한 이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울의 “서울다움”을 잘 표현함으로써 서울의 문화적 고유성과 정체성을 정립하는 계기를 마련될 것이다. 이외에도 서울을 찾는 많은 관광객, 특히 외국인들에게 서울 문화의 정수(精髓)를 느낄 수 있는 서울 문화 홍보 도우미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 – 그 중심에 우뚝 서 우리의 가슴과 눈을 열어 대한민국을 날게 하다.”

 

● 목차

[서울의 유형 문화원형을 찾아서]

궁+궐 제 모습 되찾자! / 이지은

충절향(忠節香) / 이준승

悲園 창경궁 / 이은경

한양풍수(漢陽風水) / 권유미

남한산성의 봄 / 이종분

한가람의 향기 / 김채연

Seoul Castle Ring 0906 / 이형규

가락(加樂) / 박성현

화조도 (휴-恷) / 허유정

넓적사슴벌레 / 김동호

夢 / 백승주

 

[서울의 무형 문화원형을 찾아서]

Light@Moon.Seoul(月光) / 남현우

자유로운 삶(Free Life) / 엄경희

Light up Seoul! / 엄기준

여정(Journey) / 김지은

방향로(芳香爐) / 이해구

3rd Love Stories #8 / 서민희

서울국제조각심포지움 포스터 / 편정민

발산 / 이정옥

甲骨文字와 陶藝와의 遭遇 / 박선우

風水地花 / 신동은

서울시 자연상징물 / 황지현

 

● 저자 소개

이지은 : 현, 용인송담대학 문화예술학부 교수, 문화원형디자인연구회 이사

이준승 : 한양대학교 섬유디자인전공 강사, 용인송담대학 출강

이은경 : 청강문화산업대학 서피스디자인과 겸임교수

권유미 :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박사과정

이종분 : 한양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강사, 한국디자이너협회 회원

김채연 : 단국대학교 조형예술학과 박사수료, 한양대학교, 영남이공대학 강사

이형규 : 한양대학교 금속디자인전공 부교수, (사)한국디지털디자인포럼 정책운영이사

박성현 : 건국대학교 예술문화대학 공예전공 교수, (사)한국디자인지식포럼 부회장

허유정 : 서울여자대학교 강사, 온공예회

김동호 : 단국대학교 서양화과 강의전임교수, (사)한국미술협회

백승주 :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도예전공, KMK컬러디자인 연구소 강사

남현우 : 서경대학교 비주얼콘텐츠디자인 전공 교수, 문화원형디자인연구회 회장

엄경희 : 한양대학교 섬유디자인 전공 교수, 한양섬유조형회 회장

엄기준 :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지털디자인학과 교수, (사)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이사

김지은 : 경성대학교 전임강사

이해구 : 경성대학교 제품디자인 전공 교수, (사)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이사

서민희 : 한양대학교, 서울산업대학교 출강

편정민 : 서울산업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사)한국디자인트랜드협회 이사

이정옥 : (주)Lee leader : Art Director,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 겸임교수

박선우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대학 교수, (사)한국지역산업문화협회 이사장

신동은 : (주)인튠어소시에이츠 브렌드마케팅 이사, 서울산업대학교 강사

황지현 : 오산대학 시각디자인과 겸임교수, 일컴디자인 아트디렉터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

“SEOUL – 서울문화원형표현전”의 첫 상품평을 남겨주세요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